Description
열폭주는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에 따른 연쇄화학반응에 의한 Heat-Temperature-Reaction(HTR) Loop로 인해 발생
- 1 과충전이나 내부 단락 및 비정상적 발열 또는 외부충격 및 손상 등에 따른 내부 온도 상승
- 2 100~130℃ 부근에서 음극 SEI(Solid Electrolyte Interface) 분해
- 3 00~200℃ 온도 영역에서 음극과 전해액의 화학반응(intercalation) 발생 및 분리막(PE, PP) 분해 또는 변형에 의한 양극과 음극의 대규모 단락으로 추가 발열, 온도 200℃ 부근 도달 90~220℃ 영역에서 주요 Carbonate 계열 용제류 분해 발생
- 4 ~210℃ 부근까지 양극재 분해 및 산소의 유리
- 5 220~230℃ 부근에서 연쇄적인 온도 상승에 의한 전해액 유기용제성분의 본격적인 분해와 양극재의 분해에 따른 내부 산소공급으로 용제류의 산화 증폭
- 6 250~300℃에 도달하면, 용제류의 폭발적 연소 발생
- 7 260℃ 부근에서는 바인더로 사용된 PVDF가 열분해 되기 시작하며, HF 또는 H2를 생성
전해질의 핵심 성분인 LiPF6는 수분이 있을 경우, 70℃ 이상이면 가수분해되어 HF를 생성
LiPF6 + H2O → LiF + 2HF + POF3
Composition of emissions under Thermal Runaway
- 1 발생하는 주요 인화성 gas 종류는 Carbon mono-Oxide, Methane, Ethylene, Ethane & Hydrogen Cyanide 등 5종
- 2 주요 gas 성분 : Carbon mono-Oxide (CO), Carbon de-Oxide (CO2), Methane (CH4), Ethylene (C2H4), Ethane (C2H6), FluoroEthane (C2H5F), Hydrogen (H2) & Hydrogen Fluoride (HF)
- 3 GC분석을 통해, LFP와 NCA cell 들을 조사한 결과 CO2가 CO, CH4 C2H4 등에 비해 대량으로 발생함
발생오염물의 특성 및 제거 메커니즘
불소화합물
LiPF6 → PF5 분리 : 200~240℃
PF5 잔여시간 매우 짧음
가수분해 & 화학반응
LiPF6 → LiF + PF5
PF5 + H2O → POF3 + 2HF
LiPF6 +.H2O → LiF + POF3 + 2HF
- HF Production Rate by LIB
입자상 물질(Fume, Soot 등)의 제거에 적합한 집진설비 선정
- Fume, Soot는 0.1~1 ㎛의 범위로 Inertia(관성충돌)과 Interception(차단)의 메커니즘 방지시설이 효과적임
- Fume, Soot는 퇴적시 Sticky 하며, 미세하여 필터섬유내 침투하므로 표면여과 집진 방식 적용
- Nano Filter 적용 및 Air Pulse Jet 탈리 방식 적용
나노 필터
울트라 나노 필터의 특징
일반적인 PE필터에 비해 울트라 나노 필터는 10억분의 1미터인 초 미세 나노 섬유 코팅으로, 20배 이상 작고 촘촘하게 기공을 만들었습니다.
섬유 틈 사이에 입자가 박혀 분진을 제거하는 침투처리방식(Depth Filtration)이 아닌 표면처리방식(Surface Filtration)을 사용하여 에어펄싱 시 분진이 쉽게 탈리 되어 일반 필터 보다 필터 교체시기가 깁니다.
울트라 나노 필터
울트라 나노 필터, PE 여과포 시험성적서 주요내용
구분 |
폴리에스터 여과포 |
울트라 나노 필터 |
시험조건 |
의뢰시료명 |
500g |
500g coating |
시험방법 |
VDI 3929 part2 |
공기유량 |
3.0m3(m2・min) |
시험분진 |
ISO 12103-1A2fine test dust |
분진농도 |
5g/m3 |
에어펄스젯이 시작되는 필터의 차압수치 |
12.0 mbar (=122.365863 mmH2O) |
에어펄스젯의 압력 |
2.5bar |
시험결과 |
에어펄싱 평균주기 |
00:28 |
01:12(길수록 좋다) |
투과된분진량 |
3.71mg/m^38 |
0.51mg/m^38(적을수록 좋다) |
울트라 나노 필터, PE 여과포 시험성적서 주요내용
구분 |
PE 필터(코오롱 L227) |
수입 나노 필터 |
울트라 나노 필터 |
입자크기 |
0.3~0.5㎛입자 |
0.3~1㎛입자 |
0.3~0.5㎛입자 |
제거율 |
86.2% 제거 |
85~95% 제거 |
99.1% 제거 |
경제성
대기오염방지시설 선정
연구시설개요 및 풍량선정
화재실험시설에서 발생하는 유독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후처리 장치로 보내져서 모든 후드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한꺼번에 처리함.
풍량 결정
- 적게 산정시 실제 실험시 오염물&연기가 원할히 배출되지 않으며
- 과다 설계시 투자비 및 운영비가 상승함
- 현재 5~15회/hr의 환기횟수로 설계하여 화재실험실 운영 중, 배터리 화재실험은 열폭주 특성을 고려하여 풍량 선정이 필요.
집진설비 선정시 고려사항
집진설비의 선정 및 설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화재실험을 통해 어떠한 물질이 얼마만큼 발생될지 예측하여야 하고, 현재 건설 중인 화재실험동의 특성에 맞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함.
이로부터 선정할 수 있는 집진방식을 선정할 수 있다.
항목 |
내용 |
실험시 배출 물질 |
분진, 유해가스(산성,HF, HCl, SOx, NOx 등), VOC |
집진시설의 조건 |
- 고효율의 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 능력
- 경제적이며 유지보수가 편리한 설비
- 2차 오염물의 발생량 최소화
- 악취 등 민원의 발생 해결
|
배출허용기준 및 발생예상농도
오염물질 |
배출허용기준(ppm) |
배출예상농도(실험실 test 기준) |
비고 |
SO2 |
200 |
- |
|
NOx |
150 |
- |
|
먼지 |
30 |
200~4000 |
mg/sm3 |
일산화탄소 |
200 |
8000~65000 |
|
불소화합물 |
2 |
10~20 |
|
탄화수소(THC) |
200 |
3000~80000 |
|
HCN |
4 |
37~170 |
|
대기오염방지시설의 선정
집진설비의 선정은 유해가스의 종류가 단일 물질이 아니고 복합물질이 배출되는 경우
최적설비의 선정은 설계 경험, 연소가스의 배출특성 등에 따라서 적합한 설비를 조합하여 선정.
발생오염물 |
가장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설비 |
설비의 선정 |
비고 |
분진 |
여과식집진기 ( Bag Filter ) |
여과식집진기 + 흡착탑 + Scrubber 으로 구성 |
|
THC외 |
활성탄흡착탑 ( AC Tower ) |
가스상물질 |
Scrubber ( Packed Tower ) |
Process Flow Diagram for Vent Gas
화재시험동 CFD
화재실험동은 높은 층고와 넓은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재시험을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습니다. 이러한 동에서는 공간의 층고가 30m로 높고, 길이와 폭이 넓어 공간환경을 정확히 이해하고 공조방식을 결정할 때 기류 특성과 공간 온도 분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. 또한, 화재시험 시 발생하는 가스 및 매연은 뜨겁고 부력이 강하기 때문에 층고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따라서, 이러한 환경 요소들을 고려하여 에어컨트롤엔지니어링은 전산유체시뮬레이션(CFD)을 사용하여 적합한 화재시험환경을 제안합니다.